전체메뉴 닫기
진료예약·상담
진료일정
진료예약 및 조회

진료예약 안내

처음진료 빠른예약

전화예약

FAX예약

방문예약

영유아건강검진 예약

건강검진 예약상담

암통합진료센터 예약상담

예약조회·취소

1:1전문의상담

진료과별 상담

전문분야별 상담

이용안내 FAQ

고마워요 차병원
진료과·의료진
의료진 한 눈에 보기
센터·진료과 찾기

센터 리스트

진료과 리스트

클리닉 리스트

진료과·의료진 검색

쉬운 진료과 찾기

질환별 찾기

진료과별 FAQ

산부인과 FAQ

소아청소년과 FAQ

비뇨의학과 FAQ

신규의료진 진료 안내
이용안내
처음오시는분
외래·응급·입원

외래진료안내

응급진료안내

채혈실안내

건강보험안내

입퇴원·면회안내

입원생활안내

신생아 집중치료실

신생아실

비급여수가안내
병원 층별 안내
편의시설

상가 B1

상가 1F

상가 2F

상가 3F

주요전화번호
증명서발급안내

진단서 및 증명서

의무기록사본

온라인 신청

찾아오시는길

약도·자가용

대중교통안내

주차안내
마티네 차움 산후조리원

마티네 차움

산후조리 서비스

신생아 케어

스파 & 브레스트 케어

G·X

상생의원

성형외과·피부과

정형외과

치과

함께 만들어요(고객의 소리)
건강정보
건강강좌

이달의 건강강좌

산모대학 엄마교실

자연분만체험프로그램

건강라이프 칼럼
CHA 유튜브
CHA 암튜브
건강한 출산 A to Z

임신준비관리

산전관리

제대혈 보관

분만관리

산후관리

아기관리

최첨단 의료장비
난임센터
의료진/진료예약
이용안내
난임클리닉
가임력 Check-up
소통채널

공유하기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톡
예약·상담

소개

추적관리는 따라잡기(Catch-up Growth)
성장의 평가와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의
유무를 평가하는데 중요합니다.

문의 : 소아청소년과 031-782-8372

추적관리는 따라잡기(Catch-up Growth)
성장의 평가와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의
유무를 평가하는데 중요합니다.

문의 : 소아청소년과 031-782-8372
신생아중환자실 퇴원 후 외래 추적관리 시스템
첫 외래 방문은 가정에서의 적절한 적응을 평가하기 위해 퇴원 후 7~10일 이내에 계획합니다. 이후에는 환자 상태에 따라 결정하며,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3~6개월 정도가 적절합니다. 교정연령으로 4~6개월 때 방문하는 추적관리는 따라잡기(catch-up growth) 성장의 평가와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의 유무를 평가하는데 중요합니다. 교정연령 8~12개월은 신경학적 발달을 평가하는데 적절하며, 첫 발달검사를 시행하기에도 적절합니다. 교정연령 18~24개월에는 일과성 신경학적 이상이 많은 부분 호전되며,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 적응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인지 기능을 평가합니다. 학업 성취나 감정발달에 대한 문제는 나중에 발견 될 수가 있습니다. 재태연령 28주 전에 출생한 아이들을 위해서 추적 진료를 만 4세에도 권장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어린이들의 상당 수에서 특수 교육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A. 외래 추적 관찰의 목적

1. 발달 장애의 조기 발견

2. 보호자와의 상담

3. 합병증의 발견 및 치료

4. 의료진의 피드백

B. 대상 :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퇴원한 모든 환자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집중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

1. 출생시 재태연령 32주 미만이었던 아기

2. 연령에 비추어 3 백분위수 이하의 성장지연을 보이는 아기

3. 중등도 이상의 주산기 가사가 있었던 아기

4. 신생아 집중관리를 받았던 아기

5. 입원기간 중 추적관리가 필요한 질환이 발견된 경우(선천성 심장질환, 위식도 역류 등)

6. 성장 발달 장애를 보일 수 있는 고위험군

  • 미숙아: 특히 출생시 체중이 750g 미만이었거나 재태연령 25주 미만인 경우
  • 뇌손상이 있는 경우
    • 뇌실 주변 출혈이나 경색이 있는 경우
    • 뇌실 주위 연화증이 있는 경우
    • 지속적으로 뇌실의 확장을 보이는 경우
    • 경련성 질환을 보인 경우
    • 뇌수막염이 있었던 경우
    • 퇴원시 두위가 정상보다 작은 경우
  • 자궁내 발육지연
  • 주산기 가사
  • 만성폐질환
  • 기타 위험인자
    • 선천성 감염증 (TORCH 등)
    • 신생아기의 중증 감염 (패혈증, 뇌수막염 등)
    • 저혈당증, 적혈구 증가증
    • 산모의 약물 복용
C. 외래 추적 관찰 및 평가를 하는 사항

1. 신체적 성장을 평가합니다.

2. 혈압을 측정합니다.

3. 호흡을 관찰합니다.

4. 청력 - 이비인후과 진료 연계

5. 시력 - 안과 진료 연계

6. 신경학적 질환
운동기능장애(경직성 양측마비, 사지마비, 편측마비), 정신발달지체, 경련, 감각기능 장애(청력, 시각, 미숙아망막증, 안구운동장애), 출혈 후 수두증, 학동기의 장애(시각 - 운동기능장애, 학습장애, 경미한 신경학적장애, 과운동성, 집중력 장애)

  • 신생아 중환자 관리를 받은 아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경학적 질환
    • 뇌성마비
    • 경련성질환
    • 수두증
    • 청력손실
    • 시각장애
    • 정신발달장애
  • 운동장애
    고위험군은 초미숙아, 뇌실내출혈,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심한 주산기 가사, 심한 자궁내 발육지연, 만성폐질환 등의 만성질환 입니다. (재태연령 32주 미만 또는 출생체중 1500g 미만의 미숙아는 교정연령 4개월에 재활의학과 진료를 하고 뇌실내출혈이 있거나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이 진단된 경우 교정연령 2개월에 재활의학과 진료를 합니다.)
  • 발달장애 – 재활의학과, 구강재활, 영양상담, 소아정신건강의학과와 연계